pa.ini를 읽어서 아래 그림처럼 만들어주는겁니다. - 기능위주로 만들었고 재주가 없어 모양은 못났네요.
wim파일등의 묶어진 형태는 안되고 풀어진 형태를 지원합니다.
실행방법은 RStart.exe와 RSettings.ini 를 같은 폴더에 넣어주고 Folder 값에 유틸리티가 들어있는 폴더를
지정해주면 됩니다.
IniDel 이 1 이면 매번 RStart.ini를 삭제를 하고 다시 생성합니다.
자동실행에 체크되면 유틸실행시 같은 폴더에 run.reg run.cmd 등이 있으면 먼저 실행이 됩니다.
pa.ini 작성은 여기를 참고하세요. http://denme.tistory.com/240
제 경우엔 OS에서는 풀어진 형태로 아래 그림처럼 이용하고.
[RStart]
Folder = "ppApps" ;유틸이 들어있는 폴더 , Wim등의 형태는 안됩니다.
IniDel = "0"
PE에서는 Wim 내에 넣어서 wim 이 마운트된 폴더를 지정한후 자동실행되게 했습니다.
자동실행은 pa.ini 의 autorun 에 1을 설정한후 rspasc를 실행하면 바로가기를 만들면서 자동실행까지 됩니다.
[RStart]
Folder = "OIOF7I" ; 유틸묶음인 OIOF7I.wim 이 마운트되는 폴더
IniDel = "1" ; 마운트되는 드라이브가 달라질수 있어서 매번 RStart.ini 를 삭제합니다.
;1이면 RStart.ini 삭제후 실행
실행을 하게 되면 유틸이 들어있는 폴더에 RStart.ini 가 생성되며 이걸 기준으로 실행됩니다.
만약에 pa.ini에 변경사항이 생기면 실행전에 미리 RStart.ini를 삭제를 해주면 다시 생성됩니다.
'RSPasc' 카테고리의 다른 글
pa.ini 작성예 - 장치관리자 등 (3) | 2017.10.13 |
---|---|
RSPASC1.40.exe (15) | 2017.09.29 |
RSPaini1.20.exe - 사용법 (0) | 2017.09.28 |
RSPASC1.23.exe -버그수정 (17) | 2017.09.07 |
yPASC1.19t.exe (13) | 2017.05.14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