각 이미지의 백업이나 복원 속도등에 대한 비교는 아니고, 복원시 MBR PBR 활성화 관련 부분입니다.
GHO TIB 는 백업시에 PBR을 같이 포함을 하기때문에 복원시에 PBR도 같이 복원을 해줍니다.
WIM의 경우엔 보통의 압축파일과 같이 파일만 백업을 하기 때문에 PBR은 포함되지 않습니다.
그래서 WIM이미지의 복원 후에는 PBR 이 설치가 안돼 있을 경우엔 PBR 설치과정이 필요합니다.
http://denme.tistory.com/entry/%EC%9C%88xp-%EC%9C%887-%EC%9C%888-%EB%B6%80%ED%8C%85%EA%B3%BC%EC%A0%95 에서 봤듯이 윈도우 부팅에는 3가지가 필요합니다.
3가지 이미지 다 복원 후엔 MBR설치와 활성화 과정이 필요합니다.
기존의 파티션과 디스크가 MBR과 활성화가 돼 있다면 필요가 없겠죠.
GHO TIB 는 기존의 파티션 내용을 다 지우고 복원이 되기때문에 필요가 없지만
WIM의 경우엔 압축파일 풀듯이 그냥 파티션에 이미지내용을 풀어주기때문에 기존의 다른 데이터가 있을 경
우엔 뒤죽박죽 복잡해지겠죠. 기존의 데이터를 지우고 깨끗한 파티션에 복원을 위해 포맷과정이 선
행돼야 합니다.
물론 기존의 데이터를 지우지 않고 복원을 하고 싶을 경우엔 WIM 으로 복원하시면 됩니다.
이 점이 WIM이미지의 장점이자 단점이 될 수 있겠죠.
Tib GHO - 복원 후 MBR설치와 활성화가 필요
WIM - 복원 전 포맷이 필요하고 복원 후엔 MBR설치 ,PBR설치, 활성화가 필요.
의도적으로 포맷을 안하고 설치할 수도 있음
#만능이미지의 경우엔 이걸로 끝인데 만능이미지가 아닌 윈7이나 윈8의 설치 wim이미지의 경우에는 이미지의 복원 후에 부팅파일을 설치하고 bcd에 부팅항목을 등록하는 과정이 필요합니다.
Bcdboot.exe를 이용하면 쉽게 등록이 가능합니다.
'부팅' 카테고리의 다른 글
RSESP 탑재 & 탑재해제 0.10 (5) | 2019.03.02 |
---|---|
ESP파티션 보기 (0) | 2016.02.05 |
RSMBRTool 로 Grub 심을때 (0) | 2014.10.27 |
윈7 설치된 상태에서 xp설치 후 멀티부팅 방법 (0) | 2013.12.11 |
윈xp 윈7 윈8 부팅과정 (0) | 2013.08.13 |